작년 국가채무 282조원..34조원 증가 작년 국가채무 282조원..34조원 증가(종합) 61개 기금 당기순손실 5조7천억원 국가채권 137조원..국유재산 269조원 (서울=연합뉴스) 이상원 기자 = 지난해 국가채무가 282조원을 넘어 34조원 이상 증가했고 공적자금상환기금 등 61개 기금이 5조7천억원의 손실을 기록했다. 국가채권과 국유재산은 각각 137조원.. 정보 2007.04.04
[코러스FTA] 4인 가족 생활비 많이 줄 듯 [중앙일보 박현영]서울 행당동에 사는 주부 양소영(35)씨는 한.미 FTA 체결 소식에 "우선 생활비, 특히 식료품비가 가장 많이 싸질 것 같다"고 말했다. 그가 한 달에 식료품에 쓰는 돈은 약 50만원. 그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건 한 달에 10만원쯤 드는 쇠고기 값이다. 양씨는 "10살, 4살 두 아들이 고.. 생활 2007.04.04
[스크랩] `FTA 경쟁력 강화` 뒷전 `폐업유도` 급급 정부의 한미 FTA 후속 대책이 ‘알맹이 없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보다 철저히 준비하겠다’며 애초 2일 발표하려던 것을 하루 미뤄 3일 내놨지만 새로운 내용이 없기는 마찬가지다. 이에 대해 재정경제부 김석동 차관은 “한미 FTA 추진을 ‘졸속’이라고 비판했는데 대책이 ‘졸속’이 안 되려면 .. 정보 2007.04.04
은행 수수료, 아는 만큼 덜 낸다 《올해 1월 다가구주택 한 채를 산 한모(56·서울 마포구) 씨는 매매대금을 수표로 지급하기 위해 수표 발행을 요청했더니 수수료가 총 6000원이나 붙었다고 했다. 집을 파는 사람이 액면금액이 제각각인 수표 20장을 요구했기 때문이다. 금융 전문가들은 한 은행을 골라 집중적으로 거래하면 은행 수수.. 생활 2007.03.30
개인부채가 더 많이 늘었다 [머니투데이 강종구기자][작년 금융자산 8.6%, 부채는 11.6% 증가] 부동산광풍으로 주택담보대출이 급증하는 바람에 지난해 개인부채가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금융자산 증가세는 오히려 둔화된데다 콜금리와 지급준비율 인상 여파로 대출금리도 오르는 추세여서 개인의 부채 상환부담.. 정보 2007.03.30
주택대출급증에 개인부채 11.6%↑…671조 주택대출급증에 개인부채 11.6%↑…671조 금융자산은 8.6%↑ 증가세 둔화…부채상환 부담 더늘어 강종구 기자 | 03/27 12:00 | 조회 1446 부동산광풍으로 주택담보대출이 급증하는 바람에 지난해 개인부채가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금융자산 증가세는 오히려 둔화된데다 콜금리와 지급준비.. 정보 2007.03.28
올 하반기부터 '대포차' 사라진다 2차례 검사 통보 위반시 차량 번호판 압수 (서울=연합뉴스) 심재훈 기자 = 불법 자동차인 '대포차'가 올 하반기부터 점진적으로 사라질 전망이다. 28일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정부는 최근 자동차 검사 명령 불이행시 자동차 번호판을 압수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을 마련하고 7월 2.. 정보 2007.03.28
60만원 받고 이름 빌려준 주부 전화료+과태료 3600만원 [중앙일보 이철재] #1. 주부 강모(58)씨는 지난해 8월 늘 빠듯한 형편에도 꼬박 용돈을 보내주는 아들(32)이 안쓰러워 여유자금을 만들기로 했다. 그래서 동네 전봇대에 붙은 '소액 가계대출 환영'이란 광고지를 보고 무허가 대출업체를 찾아갔다. 대출업자는 강씨에게 "비싼 이자를 물고 돈을 빌릴 바에는.. 정보 2007.03.28
1인당 개인빚 1천400만원 육박<한은> 개인부채 671조원 11.6%↑..비금융부채도 급증 (서울=연합뉴스) 박용주 기자 = 지난해 1인당 개인 빚이 1천400만원에 육박한 것으로 파악됐다. 금융자산에 비해 금융부채의 증가속도가 더 빨라지면서 가계의 부채 상환능력도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06년 자금순환동향(잠정)에 따.. 정보 2007.03.27
[정보보고]3년만에 8천만원...절약테크 노하우 사전에 등록된 ‘짠돌이’의 새로운 뜻을 알고 있나요? ‘자신을 경영할 줄 아는 사람, 구두쇠나 수전노처럼 무엇이든 아끼는 사람과는 다른 절약생활을 통해 자기 자신의 발전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과소비 문화가 만연한 요즘 시대에, 우리가 한번쯤 생각해봐야 할 .. 생활 2007.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