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박대한 기자 = 대학교 졸업자의 임금이 초.중.고교 졸업자에 비해 더 빠르게 늘어나면서 학력 간 임금 격차가 전반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26일 통계청에 따르면 3.4분기 2인 이상 도시근로자가구 중 대졸 학력을 갖고 있는 가구주의 월평균 근로소득은 354만2천원으로 지난해 같은 분기의 326만1천원에 비해 8.6% 늘어났다.
반면 초등학교 졸업 가구주의 월평균 근로소득은 같은 기간 113만6천원에서 122만3천원으로 7.7% 증가해 대졸자에 비해 상승률이 낮았고, 중학교 졸업 가구주는 올해 3.4분기 월평균 140만8천원의 근로소득을 올려 지난해 3.4분기 136만7천원에 비해 3% 늘어나는데 그쳤다.
다만 고등학교 졸업 가구주의 월평균 근로소득은 지난해 3.4분기 216만7천원에서 올해 3.4분기에는 236만1천원으로 9% 증가하면서 대졸자 보다 상승률이 높았다.
이에 따라 올해 3.4분기 기준으로 대졸자의 근로소득은 각각 고졸의 1.5배, 중졸의 2.52배, 초졸의 2.90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3.4분기 기준으로 대졸-고졸 임격격차는 2003년 1.42배, 2004년 1.45배, 2005년 1.44배, 2006년 1.51배, 2007년 1.50배 등 전반적 상승 추세를 보여 왔고, 대졸-중졸 임금격차 역시 2003년 2.01배, 2004년 2.07배, 2005년 2.20배, 2006년 2.39배에 이어 2007년에는 2.52배로 확대됐다.
대졸-초졸 임금격차는 2003년 2.57배에서 2004년 2.55배, 2005년 2.64배, 2006년 2.87배, 2007년 2.90배로 빠르게 벌어지고 있다.
학력 간 임금 격차가 확대되는 것은 대졸자의 임금이 초.중.고교 졸업자에 비해 더 빠르게 늘어나기 때문이다.
3.4분기 기준으로 올해 대졸 가구주의 월평균 근로소득은 4년 전인 2003년 같은 분기의 280만2천원에 비해 26.4% 늘어났다.
반면 고졸 가구주의 근로소득은 4년 전의 197만원에 비해 19.9% 늘어나는데 그쳤고, 중졸과 초졸 가구주의 근로소득은 각각 1%와 11.9% 올라 상승률이 대졸자에 크게 못 미쳤다.
LG경제연구원 송태정 연구위원은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에 성과주의 문화가 정착하면서 고학력 숙련노동자와 저학력 비숙련노동자의 임금 상승률에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면서 "특히 중소기업에 비해 성장 속도가 빠른 대기업이나 테크놀로지 중심의 수출기업들이 주로 대졸 이상의 고학력자를 채용하면서 노동시장의 양극화가 소득의 양극화로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송 연구위원은 "이러한 산업구조와 노동시장의 변화는 앞으로도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며 "성과주의 문화를 바꿀 수는 없겠지만 이러한 경제시스템을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pdhis959@yna.co.kr
(끝)
26일 통계청에 따르면 3.4분기 2인 이상 도시근로자가구 중 대졸 학력을 갖고 있는 가구주의 월평균 근로소득은 354만2천원으로 지난해 같은 분기의 326만1천원에 비해 8.6% 늘어났다.
반면 초등학교 졸업 가구주의 월평균 근로소득은 같은 기간 113만6천원에서 122만3천원으로 7.7% 증가해 대졸자에 비해 상승률이 낮았고, 중학교 졸업 가구주는 올해 3.4분기 월평균 140만8천원의 근로소득을 올려 지난해 3.4분기 136만7천원에 비해 3% 늘어나는데 그쳤다.
다만 고등학교 졸업 가구주의 월평균 근로소득은 지난해 3.4분기 216만7천원에서 올해 3.4분기에는 236만1천원으로 9% 증가하면서 대졸자 보다 상승률이 높았다.
이에 따라 올해 3.4분기 기준으로 대졸자의 근로소득은 각각 고졸의 1.5배, 중졸의 2.52배, 초졸의 2.90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3.4분기 기준으로 대졸-고졸 임격격차는 2003년 1.42배, 2004년 1.45배, 2005년 1.44배, 2006년 1.51배, 2007년 1.50배 등 전반적 상승 추세를 보여 왔고, 대졸-중졸 임금격차 역시 2003년 2.01배, 2004년 2.07배, 2005년 2.20배, 2006년 2.39배에 이어 2007년에는 2.52배로 확대됐다.
대졸-초졸 임금격차는 2003년 2.57배에서 2004년 2.55배, 2005년 2.64배, 2006년 2.87배, 2007년 2.90배로 빠르게 벌어지고 있다.
학력 간 임금 격차가 확대되는 것은 대졸자의 임금이 초.중.고교 졸업자에 비해 더 빠르게 늘어나기 때문이다.
3.4분기 기준으로 올해 대졸 가구주의 월평균 근로소득은 4년 전인 2003년 같은 분기의 280만2천원에 비해 26.4% 늘어났다.
반면 고졸 가구주의 근로소득은 4년 전의 197만원에 비해 19.9% 늘어나는데 그쳤고, 중졸과 초졸 가구주의 근로소득은 각각 1%와 11.9% 올라 상승률이 대졸자에 크게 못 미쳤다.
LG경제연구원 송태정 연구위원은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에 성과주의 문화가 정착하면서 고학력 숙련노동자와 저학력 비숙련노동자의 임금 상승률에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면서 "특히 중소기업에 비해 성장 속도가 빠른 대기업이나 테크놀로지 중심의 수출기업들이 주로 대졸 이상의 고학력자를 채용하면서 노동시장의 양극화가 소득의 양극화로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송 연구위원은 "이러한 산업구조와 노동시장의 변화는 앞으로도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며 "성과주의 문화를 바꿀 수는 없겠지만 이러한 경제시스템을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pdhis959@yna.co.kr
(끝)
출처 : 법률사무소 진우 파산개인회생
글쓴이 : 김은실 원글보기
메모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불법대부업체 서민 홀린다 (0) | 2007.11.27 |
---|---|
과태료 상습·고액 체납하면 ‘철창신세’ (0) | 2007.11.26 |
연말정산 지금부터 준비하세요. (0) | 2007.11.13 |
10월 가계대출 급증, 올해 들어 최고수준 (0) | 2007.11.07 |
[스크랩] 기초생활 부정수급자 `강남 최다`…9억대 재력가도 (0) | 2007.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