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부채비율따라 대출금리.한도 차등화
모카시리
2007. 3. 2. 00:05
부채 많으면 금리 가산..작으면 우대
(서울=연합뉴스) 박용주 기자 = 이달부터 주택투기지역과 수도권 투기과열지구에 대한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가 확대 적용되면서 부채비율에 따라 주택대출금리와 대출한도도 차등화된다.
부채비율은 개인의 부채상환능력을 가늠하는 척도가 될 수 있는 만큼 부채비율이 낮으면 금리와 한도에 혜택을, 높으면 페널티를 받게 된다.
1일 은행업계에 따르면 시중은행들은 이번달부터 부채비율에 따라 대출금리 및 대출한도를 차등화하는 제도를 시행한다.
국민은행은 2일부터 근로소득원천징수 영수증 등 관공서가 발행하는 공식 소득 증명 서류를 제출한 고객 중 부채비율이 250% 이하인 고객에게 주택대출금리를 0.1%포인트 우대해주기로 했다.
부채비율은 신청대출금을 포함한 총 부채금액을 증빙소득금액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해 산출한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부채비율이 낮은 고객은 여타 고객에 비해 정상적으로 채무를 상환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대출금리를 낮추게 됐다"고 설명했다.
국민은행은 또 개인신용등급이 9등급 이하인 고객이 5천만원을 넘는 대출을 신청했을 때 부채비율이 400%를 넘으면 대출을 거절한다.
국민은행은 아울러 전 지역의 모든 주택을 대상으로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때 공식 소득입증 서류를 제출하지 않으면 대출 만기일까지 금리를 0.2%포인트 가산해 적용할 계획이다.
매출액, 신용카드 사용액, 부동산 임대소득 등 신고소득도 비공식적인 소득 증빙 서류로 활용할 수 있지만 공식소득입증 서류에 비해 신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그만큼의 위험부담을 금리에 반영시킨 것이다.
신한은행은 부채비율이 250%를 초과하면 대출한도를 일반 소비자의 85%로 제한하는 제도를 시행 중이다.
일반 소비자와 같이 한도 100%를 모두 받으려면 0.3%포인트의 가산금리를 물어야 한다.
신한은행은 또 공식 소득증빙 자료를 내면 금리를 0.2%포인트, 담보인정비율(LTV) 40% 이내 대출은 0.1%포인트 금리 할인 혜택을 준다.
우리은행은 부채비율이 250%를 넘는 고객에 대해 0.25%포인트의 가산금리를 부과하고 있다.
하나은행은 부채비율이 400%를 넘거나 이자상환비율이 40%를 초과하면 대출 담당 심사역에게 경고 사인을 준다.
이자상환비율은 이자비용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수치화한 개념이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부채비율.이자상환비율이 대출에 미치는 영향이 공식화돼 있지는 않지만 결국 대출 여부 및 금리에 어떤 형태로든 반영되게 된다""고 설명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채무상환능력이 대출금리와 한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지면서 부채비율이 중요한 지표가 되고 있다"며 "앞으로 이같은 분위기는 더욱 확산될 것"이라고 말했다.
speed@yna.co.kr
(끝)
<모바일로 보는 연합뉴스 7070+NATE/ⓝ/ez-i>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서울=연합뉴스) 박용주 기자 = 이달부터 주택투기지역과 수도권 투기과열지구에 대한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가 확대 적용되면서 부채비율에 따라 주택대출금리와 대출한도도 차등화된다.
부채비율은 개인의 부채상환능력을 가늠하는 척도가 될 수 있는 만큼 부채비율이 낮으면 금리와 한도에 혜택을, 높으면 페널티를 받게 된다.
1일 은행업계에 따르면 시중은행들은 이번달부터 부채비율에 따라 대출금리 및 대출한도를 차등화하는 제도를 시행한다.
국민은행은 2일부터 근로소득원천징수 영수증 등 관공서가 발행하는 공식 소득 증명 서류를 제출한 고객 중 부채비율이 250% 이하인 고객에게 주택대출금리를 0.1%포인트 우대해주기로 했다.
부채비율은 신청대출금을 포함한 총 부채금액을 증빙소득금액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해 산출한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부채비율이 낮은 고객은 여타 고객에 비해 정상적으로 채무를 상환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대출금리를 낮추게 됐다"고 설명했다.
국민은행은 또 개인신용등급이 9등급 이하인 고객이 5천만원을 넘는 대출을 신청했을 때 부채비율이 400%를 넘으면 대출을 거절한다.
국민은행은 아울러 전 지역의 모든 주택을 대상으로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때 공식 소득입증 서류를 제출하지 않으면 대출 만기일까지 금리를 0.2%포인트 가산해 적용할 계획이다.
매출액, 신용카드 사용액, 부동산 임대소득 등 신고소득도 비공식적인 소득 증빙 서류로 활용할 수 있지만 공식소득입증 서류에 비해 신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그만큼의 위험부담을 금리에 반영시킨 것이다.
신한은행은 부채비율이 250%를 초과하면 대출한도를 일반 소비자의 85%로 제한하는 제도를 시행 중이다.
일반 소비자와 같이 한도 100%를 모두 받으려면 0.3%포인트의 가산금리를 물어야 한다.
신한은행은 또 공식 소득증빙 자료를 내면 금리를 0.2%포인트, 담보인정비율(LTV) 40% 이내 대출은 0.1%포인트 금리 할인 혜택을 준다.
우리은행은 부채비율이 250%를 넘는 고객에 대해 0.25%포인트의 가산금리를 부과하고 있다.
하나은행은 부채비율이 400%를 넘거나 이자상환비율이 40%를 초과하면 대출 담당 심사역에게 경고 사인을 준다.
이자상환비율은 이자비용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수치화한 개념이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부채비율.이자상환비율이 대출에 미치는 영향이 공식화돼 있지는 않지만 결국 대출 여부 및 금리에 어떤 형태로든 반영되게 된다""고 설명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채무상환능력이 대출금리와 한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지면서 부채비율이 중요한 지표가 되고 있다"며 "앞으로 이같은 분위기는 더욱 확산될 것"이라고 말했다.
speed@yna.co.kr
(끝)
<모바일로 보는 연합뉴스 7070+NATE/ⓝ/ez-i>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